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EZ2ON REBOOT : R/시스템
(r3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환경 설정 == ||<table align=center><width=400><table bordercolor=#0b4862><bgcolor=#13171a><table bgcolor=#fff,#2d2f34><nopad> {{{#!wiki style="margin-bottom: -1px" [[파일:EZ2ON Option_1.png|width=4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7a9c1, #17a9c1,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text-shadow: 0 0 3px #000e41; color: #fff" '''{{{#fff 옵션 #1}}}'''}}} || ||<nopad> {{{#!wiki style="margin: -1px 0" [[파일:EZ2ON Option_2.png|width=4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7a9c1, #17a9c1,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text-shadow: 0 0 3px #000e41; color: #fff" {{{#fff '''옵션 #2'''}}}}}} || > '''SET UP YOUR PERSONALITY''' > EZ2ON 플레이에 대한 시스템 설정을 진행합니다. * '''디스플레이''' * 그래픽 품질 (낮음, 보통): 게임의 그래픽 품질을 조정한다. 낮음으로 설정할 경우 BGA가 출력되지 않고 단일 이미지로만 표시된다. 최적화가 잘되어 성능고약한 컴퓨터가 아니라면 보통으로 하면된다. (기본 설정: '''보통''') * 화면 모드 (전체 화면, 전체 창 모드, 창 모드): 전체 화면은 일반적인 전체 화면으로 게임 화면 위에 다른 창이 표시되지 않는다. 전체 창 모드 설정 시 현재 해상도에 맞게 조정되며, 게임 화면 위에 다른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창 모드 설정은 클라이언트 테두리가 존재한다. (기본 설정: '''전체 창 모드''') * 해상도 (1280×720~3840×2400): 기본 [[HD(해상도)|HD]]부터 최대 [[4K UHD]]까지 지원한다. 모니터의 최대 해상도를 넘어가는 해상도는 자동으로 비활성화 된다. (기본 설정: '''1920×1080''') * 프레임 레이트 제한 (30~300 FPS, [[수직동기화|V-Sync]], Unlimited (G-SYNC / FreeSync Only)): 게임의 최대 프레임 레이트를 조정한다. 설정 전 그래픽 카드 제어판에서 수직 동기화 옵션 활성 여부를 확인할 것. V-Sync 사용 시 프레임은 모니터 화면 주사율과 같아진다. Unlimited (G-SYNC / FreeSync Only) 사용 시 프레임이 천 단위를 넘어가기도 하니 성능을 고려하여 사용한다. 다만, 클라이언트를 개발한 [[RYUminus]]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수직동기화]]를 켜는 것을 권장한다고 이야기했다. 판정을 프레임과 상관없이 초당 8천 회[* 아래의 폴링 레이트 (BETA) 설정을 따라간다.] 검사하므로 빠른 입력을 위해 그래픽 카드를 혹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그의 의견이다. 그 외 세팅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https://blog.naver.com/ryu1101/222445042327|이곳]]을 참고하면 좋다.(기본 설정: '''V-Sync''') * 저지연 모드 (사용하지 않음, 사용, 높음, NVIDIA Relfex, NVIDIA Reflex + Boost): 저지연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지원하지 않는 모드일 경우 버튼이 비활성화 된다. 저지연 모드의 설정이 높을수록 게임의 화면 출력 지연속도는 낮아지지만, GPU의 부하도 증가한다[* 사양에 따라 노트 밀도에 따른 프레임 저하가 일어난다.]. NVIDIA Reflex 기능은 GeForce GTX™ 900 시리즈 이상의 GPU에 한해, NVIDIA Reflex Boost 기능은 GeForce RTX™ 3000 시리즈 이상의 GPU에 한해 지원된다.(기본 설정: '''사용하지 않음''') * '''사운드''' * 사운드 출력 장치: 게임의 소리를 출력할 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ASIO]]를 지원한다. F4로 ASIO 장치를 찾은 후 ASIO를 지원하는 사운드 출력 장치를 선택하면 활성화된다. 단, 게임 내에서 지원하지 않거나 인식되지 않는 경우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하다. 또한 ASIO 특성상 EZ2ON 외의 모든 사운드는 비활성화되므로 방송 출력을 하고자 한다면 사운드카드를 구매하거나 ASIO를 포기해야 한다. * 사운드 버퍼(극한 (32)~아주 높음 (1024)): 노트 입력 처리 후 사운드 출력까지의 버퍼를 조절한다. 지연을 최소화하고 싶다면 낮게 설정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소리가 찢어질 경우 한 단계 올리면서 설정을 조정해야 한다. [[ASIO]]를 사용할 경우 기기에 따라 일부 사운드 버퍼 설정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해당 옵션은 옵션 창을 나가야 적용된다.(기본 설정: '''중간 (512)''') * 샘플링 비율 동기화: 일부 사운드 카드에서 소리가 정상적으로 재생되지 않는 경우에만 활성화한다.(기본 설정: '''사용하지 않음''') * 마스터 볼륨: 게임의 전체적인 볼륨을 조정한다.(기본 설정: '''100%''') * 인터페이스 볼륨: 게임 플레이와는 무관한 곡 선택, 결과 창 등의 사운드 볼륨을 조정한다.(기본 설정: '''75%''') * 키음 볼륨(30%~100%): 게임 플레이 시 연주음의 볼륨을 조정한다. 타격감을 위해서라면 배경음 볼륨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을 추천한다.(기본 설정: '''86%''') * 배경음 볼륨(30%~100%): 게임 플레이 시 흘러나오는 배경음을 조정한다. 키음과 배경음 볼륨은 유출 가능성의 우려 때문인지 0%로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기본 설정: '''65%''') * 창 비활성화 시 소리 출력: 창을 비활성화 했을 때 소리를 출력할 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기본 설정: '''사용하지 않음''') * 키음 연주 어시스턴트: 키 입력과 관계 없이 키음을 자동으로 재생한다. (기본 설정: '''사용하지 않음''') * 사운드 밸런스(표준, 연주음 우선): 키음과 배경음을 비슷한 볼륨으로 재생할지, 아니면 키음을 배경음보다 크게 재생할지 선택할 수 있다.(기본 설정: '''연주음 우선''') * '''게임 플레이''' * 키 설정: 4키부터 8키까지 대응되는 키를 설정할 수 있다. RAlt와 RCtrl의 경우 설정이 되지 않았는데, 이후 아래의 호환성 우선 설정이 추가되면서 해결되었다. 정식 발매 이후엔 배속 설정, BGA 밝기 조절 등의 기능 키도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 키 입력 시스템(속도 우선, 호환성 우선): 속도 우선으로 설정하면 [[입력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일부 키 조합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호환성 우선으로 설정하면 모든 키 조합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입력지연이 약간 늘어난다.(기본 설정: '''속도 우선''') * 보조키 사용 여부: 5키와 8키의 경우 보조 키를 설정할 수 있는데, 활성화하지 않으면 이 보조키가 작동하지 않는다. 5키의 경우 한 손이 3개의 키를 처리함으로써 무리하게 걸리는 부하를 다른 손이 일부 커버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기본 설정: '''사용''') * 윈도우 키 비활성화: 게임 실행 중 [[윈도우 키]]를 누를 수 없게 한다. 키 입력 시스템이 속도 우선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지원하지 않는다.(기본 설정: '''사용하지 않음''') * 테마 스킨: [[DLC]]를 구매했을 경우 게임의 테마 스킨을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다. DLC를 구매하지 않았을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스킨은 기본 스킨인 REBOOT : R뿐이다.[* 얼리 액세스 기간에 EZ2ON REBOOT : R 본편을 샀었다면 정식 출시일인 2022년 4월 14일에 특전 보상으로 CODENAME : VIOLET DLC와 Quantum Complex Theme Pack DLC가 자동으로 지급되어서 다른 DLC를 사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REBOOT : R 스킨 말고도 CODENAME : VIOLET과 Quantum Complex의 테마 스킨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DJMAX RESPECT V|타]]게임과 비교하면 타이틀 화면과 다른 메뉴의 뒷 배경도 바뀌는 세세한 요소가 있다. * 리플레이 자동 저장: 게임이 끝나고 결과를 표시할 때 리플레이를 자동으로 저장하는데 이 설정을 끌 수 있다. 끄더라도 결과 창에서 F9로 수동 저장도 가능하다.(기본 설정: '''사용''') * 언어 (LANGUAGE):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 선택할 수 있다. * 폴링 레이트 (BETA): 최대 폴링 레이트 수치를 조정할 수 있다. 고급 키보드를 위한 기능으로 키보드의 폴링 레이트가 1000Hz보다 높지 않다면 아무리 조정해도 체감할 수 없다. 높을 경우 CPU 부하가 증가하긴 하지만 게임이 요구하는 사양이 낮기도 하고 폴링 레이트가 높은 키보드를 구매하는 유저들은 컴퓨터 사양도 매우 좋게 맞추는 일이 보통이라 PC에 큰 부담이 생기진 않는다. (기본 설정: '''1000Hz''')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